반응형
“2600만명 유심 털렸다” SKT·KT·롯데카드 해킹, 내 정보도 안전할까?
최근 연이어 발생한 대형 사이버 침해사고가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.
특히 이번 사건들은 단순히 기업 시스템만을 겨냥한 과거 랜섬웨어와 달리,
가입자 개개인을 직접 겨냥했다는 점에서 충격이 큽니다.
🔎 SK텔레콤 해킹: 2600만명 유심 정보 유출
- 해커, 주민번호·주소가 아닌 유심(USIM) 관련 핵심 정보에 집중
- 가입자 식별번호(IMSI), 단말기 고유번호(IMEI), 인증 키값 등 25종 유심 데이터 장기간 빼돌림
- 보안 전문가: “스마트폰 복제 통한 메신저·통화·소액결제 해킹 가능성 매우 높다”
👉 2600만명이라는 숫자는 사실상 전 국민 절반에 달해 파급력이 엄청납니다.
📱 KT 무단 소액결제: 차량에 실은 불법 기지국
- 해커 조직, 불법 팸토셀 장비 4대를 차량에 싣고 서울·경기 지역 돌며 범행
- 총 2만여 명 가입자 정보 탈취, 그 중 362명은 인당 수십만~수백만 원 피해
- 피해자들, 결제 과정에서 받아야 할 ARS 인증 문자조차 받지 못함
- 대부분 새벽 시간대 발생 → 뒤늦게 고객센터 연락으로 피해 확인
👉 **“내가 아무리 주의해도 막을 수 없는 해킹”**이라는 점에서 국민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.
💳 롯데카드 해킹: 297만명 고객 정보 노출
- 온라인 결제 서버(WAS) 직접 해킹
- 297만명 CI·가상결제코드 유출, 이 중 28만명은 카드번호·CVC번호까지 유출
- 전문가: “키인(KEY IN) 결제로 수십만명 피해 우려, 대규모 무단 결제 직전 상황이었다”
👉 카드 보안코드까지 털렸다는 사실은, 사실상 금고 비밀번호까지 해커에게 넘겨준 꼴입니다.
⚠️ “개인이 할 수 있는 건 없다”… 공포 확산
보이스피싱·스미싱은 개인의 주의로 차단 가능했습니다.
하지만 이번 공격은 달랐습니다.
- 이용자가 경각심을 가져도 막을 수 없음
- 기업·정부 보안 시스템이 뚫린 순간, 개인은 속수무책 피해자가 됨
👉 보안 전문가: “이번 해킹은 사용자가 조심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”
🤖 해커들의 진화: AI 결합 사이버 범죄
- 인공지능(AI)로 시스템 취약점 자동 탐지 후 공격
- 보안 시스템은 구식 그대로, 방어 기술은 제자리
- 기업 IT 자원 상당수가 업그레이드 종료된 구형 보안체계
- 내부자 관리 부실까지 겹쳐 구멍 난 보안 현실 드러남
👉 전문가 경고: “앞으로 더 은밀하고 조용한 대규모 공격이 이어질 것”
✅ 지금 필요한 건 ‘개인 주의’가 아닌 ‘근본적 대책’
- SK텔레콤·KT·롯데카드 해킹 공통점 = 가입자 직접 공격
- 피해자는 수십만~수천만 명, 국민 대다수의 문제
- 개인의 조심이 아닌, 정부·기업의 보안 인프라 혁신적 개선이 절실
반응형